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36 [DB] Dirty Read, Non-Repeatable Read, Phantom Read 예시 및 Snapshot Isolation Level | LIM DB의 Transaction 들이 동시에 실행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이상 현상들에 대해 정리하고 예시를 통해 더 자세히 파악해보고자 한다. 이전에 Transaction Isolation Level 에 대해서는 정리해 둔 포스팅이 있다. https://amazelimi.tistory.com/31 [MySQL] Transaction의 모든 것 | LIM MySQL/MariaDB의 InnoDB 스토리지 엔진은 Transaction(트랜잭션) 기능을 지원한다. 📌 Transaction 단어의 뜻은 이러하다. 거래, 매매 처리과정 컴퓨터 과학 분야에서의 트랜잭션은 “더이상 분할이 불가능 amazelimi.tistory.com 위 게시글에서는 Isolation Level 이 잘 지켜지지 않았을 때 이러이러한 위와 .. 2023. 2. 17. [DB] DML, DDL, DCL | LIM DML(Data Manipulation Language): 데이터 조작어 SELECT INSERT UPDATE DELETE DDL(Data Definition Language): 데이터 정의어 CREATE ALTER DROP RENAME TRUNCATE DCL(Data Control Language): 데이터 제어어 GRANT REVOKE TCL(Transaction Control Language): 트랜잭션 제어어 COMMIT ROLLBACK SAVEPOINT 2023. 2. 12. [CS] 프로세스와 스레드 그리고 멀티작업들 | LIM 먼저, 간단한 개념을 먼저 잡고 넘어가자! ✔️ 프로세스 - 컴퓨터에서 실행 중인 프로그램 - 각각의 프로세스는 독립된 메모리 공간을 할당받음 ✔️ CPU - 명령어를 실행하는 연산 장치 ✔️ 메인메모리 - 프로세스가 CPU 실행되기 위해 대기하는 곳 🤔 그렇다면 먼저 가장 초장기의 프로그램 시스템은 어땠을까? 일단 처음에 프로그램 시스템은 단일 프로세스 시스템이었다. - 한 번에 하나의 프로그램만 실행 ( 따라서 한 개의 작업이 끝나야 다른 작업을 실행시킬 수 있음 ) - CPU 사용률이 좋지 않음 - 프로세스가 IO 작업을 만나게 되면 아무것도 하지 않고 놀고 있는 상태가 됨 ✨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멀티프로그래밍이 나왔다.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올려놓고 동시에 실행시키는 방법이 나오게 됨 .. 2023. 2. 11. [Linux] Screen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사용하는가 | LIM Linux 내에서 작업을 하던 중 여러 군데에 있는 코드를 vim으로 보는데 계속 여기 갔다 저기 갔다 할 때마다 이동하는 게 너무 귀찮았다. Screen 이란 개념을 알게 되었고, 꽤나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었다. 🤔 Screen 이란? Screen이란 mac, linux 와 같은 unix 운영체제에서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가상 터미널을 띄워주는 것을 의미한다. 즉, 백그라운드로 동작하는 가상 터미널인 것이다. 스크린에서 명령어를 실행시키고 터미널을 꺼도, 명령어가 백그라운드로 계속 돌아간다. 명령어를 실행시킨 뒤 터미널을 종료하고, 나중에 screen 명령을 이용해서 다시 접속하면 해당 터미널 그대로 작업을 이어나갈 수 있다. 위 그림은 screen 을 두 개 생성하고 각각 window를 2개씩 생성한.. 2023. 2. 10. [백준] 18353번: 병사 배치하기 | LIM 📚문제 N명의 병사가 무작위로 나열되어 있다. 각 병사는 특정한 값의 전투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병사를 배치할 때는 전투력이 높은 병사가 앞쪽에 오도록 내림차순으로 배치를 하고자 한다. 다시 말해 앞쪽에 있는 병사의 전투력이 항상 뒤쪽에 있는 병사보다 높아야 한다. 또한 배치 과정에서는 특정한 위치에 있는 병사를 열외시키는 방법을 이용한다. 그러면서도 남아있는 병사의 수가 최대가 되도록 하고 싶다. 예를 들어, N=7일 때 나열된 병사들의 전투력이 다음과 같다고 가정하자. 이 때 3번 병사와 6번 병사를 열외시키면, 다음과 같이 남아있는 병사의 수가 내림차순의 형태가 되며 5명이 된다. 이는 남아있는 병사의 수가 최대가 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병사에 대한 정보가 주어졌을 때, 남아있는 병사의 수가 최대가.. 2023. 2. 5. Parquet 파일 읽고 써보기 | LIM 먼저 Parquet에 대한 개념과 기본 원리에 대한 정리한 글이다. https://amazelimi.tistory.com/78 Parquet란 무엇이고, 왜 사용하는가 Parquet (파케이)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 중 하나로 하둡생태계에서 많이 사용되는 파일 포맷이다. 빅데이터를 처리할 때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어가기 때문에 빠르게 읽고, 압축률이 좋아야 amazelimi.tistory.com Parquet 가 왜 압축률이 좋고 빠른지에 대해 알아봤으니 실제로 적용해 보는 일만 남았다. 먼저, Parquet 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면 좋은 점에 대해 알아보자. Data Type 이 저장된다. 특정 Column 만 선택해서 읽을 수 있다. (Parquet 은 Column-Based File) 용량이. cs.. 2023. 2. 4.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2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