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개발환경9 [Git] Git Hook (pre-commit) | LIM 1. Git Hook 이란? Git에서 어떠한 이벤트(commit, push..) 가 발생했을 때 특정 스크립트를 실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다양한 종류가 있다. - pre-commit - prepare-commit-msg - pre-push - commit-msg ... 해당 hook 종류는 git으로 관리되고 있는 프로젝트에 들어가서 .git/hooks 로 들어가면 확인할 수 있다. 나는 그 중 pre-commit 을 이용해서 dbt 에서 특정 모델에 대한 tag 관리 및 description 관리 등을 수행했다. 2. Pre-Commit 설정하기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있다. 로컬에서 설정해서 내 로컬에서만 적용되게끔 하는 경우와 다른 팀원들과의 공유를 통해 팀 전체에서 동일한 git hook 을 사용.. 2023. 11. 21. Ubuntu 20.04 xrdp 설치 및 접속 💻 환경 접속: mac m1 pro linux: ubuntu 20.04 1. Microsoft Remote Desktop 설치 https://apps.apple.com/kr/app/microsoft-remote-desktop/id1295203466?mt=12 Microsoft Remote Desktop Use Microsoft Remote Desktop for Mac to connect to Azure Virtual Desktop, Windows 365, admin-provided virtual apps and desktops, or remote PCs. With Microsoft Remote Desktop, you can be productive no matter where you are. GET .. 2023. 7. 14. [Linux] Screen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사용하는가 | LIM Linux 내에서 작업을 하던 중 여러 군데에 있는 코드를 vim으로 보는데 계속 여기 갔다 저기 갔다 할 때마다 이동하는 게 너무 귀찮았다. Screen 이란 개념을 알게 되었고, 꽤나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었다. 🤔 Screen 이란? Screen이란 mac, linux 와 같은 unix 운영체제에서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가상 터미널을 띄워주는 것을 의미한다. 즉, 백그라운드로 동작하는 가상 터미널인 것이다. 스크린에서 명령어를 실행시키고 터미널을 꺼도, 명령어가 백그라운드로 계속 돌아간다. 명령어를 실행시킨 뒤 터미널을 종료하고, 나중에 screen 명령을 이용해서 다시 접속하면 해당 터미널 그대로 작업을 이어나갈 수 있다. 위 그림은 screen 을 두 개 생성하고 각각 window를 2개씩 생성한.. 2023. 2. 10. [Linux] FTP 서버 구축기(feat. GCP VM Instance) | LIM FTP를 통해 파일을 받아야 하는 경우가 있어 구축해 보게 되었다. 참고로 GCP에서 VM Instance를 하나 생성해 진행했고, Ubuntu20.04 이미지로 생성했다. 💡Install Vsftpd And Setting sudo 환경에서 실행하였습니다. Environment GCP VM Ubuntu 20.04 Install Vsftpd sudo apt install vsftpd Config Open config file sudo vim /etc/vsftpd.conf config file # Example config file /etc/vsftpd.conf # # The default compiled in settings are fairly paranoid. This sample file # loose.. 2023. 1. 22. [Pycharm] SSH 원격 접속 | LIM 1. New Project 를 눌러 새로운 프로젝트 생성 2. 파이썬 프로젝트를 생성해준다. 저기서 Location 은 로컬 환경 내 개발환경 directory 이다. 원하는 경로로 설정해주면 된다. 3. Python Interpreter 설정 Interpreter 설정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창이 뜬다. 4. 접속하려는 환경의 Host, Username 을 각각 넣어준 후 Password 까지 넣어준다. 5. Interpreter 설정을 해준다. 보통 venv 로 가상환경을 생성했다면 해당 프로젝트 하위에 .venv/bin/python3.9 로 경로를 설정해주면 된다. 6. 해당 원격서버의 프로젝트 위치를 설정해준다. 7. 연결했는데 아무것도 나오지 않는다.. 이럴 땐 원격저장소에서 소스를 다운로드 받아.. 2022. 12. 24. [mac m1] jupyterlab 설치 및 실행 오류 | LIM mac m1에서 brew를 이용해 jupyterlab 설치 후 jupyter lab 이라고 치자 창이 열리면서 이런 에러가 떴다. 어디서 찾았는 지 기억은 안나는데 검색하다가 발견했고 다음과 같이 실행하니 정상적으로 실행 되었다. >> jupyter lab --core-mode 2022. 6. 24. 이전 1 2 다음 반응형